요즘 개인방송을
직업으로 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오늘은 제가 사용하고 있는
개인 방송용 장비(라이브방송)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아래 사진은
모든 장비를 세팅한 모습으로
DSLR 카메라(Sony A6500)를 사용해서
화질을 최우선으로 하고
Audio 입력은
현장음과 인터뷰 Audio 수음을 위해
두 가지 마이크를 장착했습니다.
물론 DSLR 카메라 대신에
4K를 지원하는 캠코더를 사용할 수도 있었지만
굳이 소니 알파6500을 메인으로 세팅한 이유는
고화질 4K 동영상,
빠른 오토포커스(Auto Focus) 기능,
소니 고유의 색감,
내장된 손떨림 방지 기능과 동시에
고화질 현장 사진이 함께 필요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제 장비는 현장에서 녹화는 물론
유투브, 아프리카 tv, 페이스북 라이브방송, 유스트림, 트위치 등의
라이브방송용으로 세팅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었습니다.
실내에서 방송할 경우에는
랜케이블을 연결해서 방송하면 간단하게 해결되지만
랜선을 끌어올 수 없는
야외(산, 바닷가, 운동장, 공원 등)에서
라이브로 송출하려면 통신사 망을 이용해서
송출하는 방법이 비용면에서
가장 저렴하게 진행할 수 있어서
무제한 데이터 상품을 가입해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소니 알파6500 카메라의 단점인
배터리 소모량에 대한 문제는
휴대용 보조배터리를 장착해서 해결했습니다.
보조배터리 제조사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제가 사용하는 10,000mAh 기준으로
거의 7시간을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로 장비 세팅중에
Audio 수음에 대한 것을 무시할 수 없었습니다.
DSLR 카메라에 내장된 마이크로 현장에서 수음을 하면
내장마이크는 지향성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주변에서 원치 않는 잡음(?)까지 녹음이 되어
결코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물론 홈비디오용으로 이용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단순 취미를 넘어 최소한의 비용으로
상용으로 사용할 결과물을 원하는 저로서는
고가의 오디오 장비를 장착할 수는 없는 상황이어서
아래의 두 가지 장비로 세팅했습니다.
1. 소니 무선마이크( UWP-D11 ) 세트 : 인터뷰 수음용
2. 사라모닉 스마트믹서( 지향성 마이크 2개 ) : 현장 수음용
통신사 망을 이용해서
송출하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것은 휴대폰 전원 공급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스마트폰의 "카메라파이 라이브" 앱을 이용해서
방송을 하려면 상단의 사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휴대폰의 마이크로5핀 또는 Type-C 단자로 영상신호를 받아 들여야 하는데
이 경우 휴대폰에 내장된 배터리가 소모되고 나면
방송중에 배터리를 교체할 방법이 없어서
생방송을 멈추고
배터리 교체 후 다시 진행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1. Y타입 젠더 + 갤럭시 노트4를 이용해서 해결하고자 했는데 실패
2. EE-P5000BBKGKR 기가 멀티포트 어댑터 USB-C 타입 + 갤럭시 노트8 조합으로 절반의 성공
1번의 경우, 휴대폰으로 보조배터리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없어서 실패
2번의 경우, 휴대폰으로 보조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기는 하지만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이 아니고
배터리의 소모시간을 지연시켜 주는 정도로
시간당 약7~9% 정도 내장 배터리가 소모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2번의 경우 한가지 아쉬운 점은
보조배터리 교체 또는 실수로 케이블을 제거하면
방송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해서
궁극적인 해결 방법으로는 조금 미흡한 점이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장시간 송출하는 방법으로는
2번의 방법(Type-C 포트 지원 단말기)이 최선인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을 모색하다가
휴대폰을 무선 충전하는 방법으로
전원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었습니다.
방법은 이렇습니다.
휴대폰이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제가 사용하고자 하는 갤럭시 노트4 기종은 무선 충전 기능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포기하기는 너무 아쉬워서
검색해 보니
다행스럽게 아래의 제품이 아직 유통되고 있었습니다.
MI-2(미투) 갤럭시 노트4 무선충전패치 모듈입니다.
약간 개조해서 아래의 사진과 같이 장착했습니다.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20,000mAh 배터리의 경우
너무 두껍고 무거워서 장착하는데 무리가 있어서
파워킹 무선 충전 보조배터리 WP-8000 모델을 장착했습니다.
테스트 해본 결과
WP-8000 모델이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에
AC 충전기 또는 다른 보조배터리를 WP-8000에 연결하면
배터리 자체 충전도 동시에 되는 것은 확인 했지만,
카메라파이 라이브를 통해 송출과 동시에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시키지는 못하고
휴대폰 내장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시켜 주는 정도,
배터리 소모 시간을 약2배 가량 늘려 주는 정도였으며
치명적인 것은
무선 충전 시 발생되는
휴대폰과 보조배터리의 발열 현상 때문에
휴대폰이 과열되어서
방송중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무선 충전 방식은 포기 했습니다.
전문적인 케이블 개발업체에 문의해 보았으나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구조상
Micro 5핀, Type-C 등의 단자를 통해
영상 신호와 동시에 전원 공급을 받아서
충전할 수 있는 휴대폰 기종은 없다"는 회신이었습니다.
저의 개인방송 송출 세팅은 이렇습니다.
1. 소니 알파6500은 1080P 모드로 설정
2. Avermedia UVC BU110(컨버터)에 HDMI 케이블로 입력
3. 갤럭시 노트4(Micro5핀)으로 입력
4. "카메라파이 라이브" 앱으로 유투브 채널로 송출
DSLR 카메라의 LCD는
배터리 소모의 주 원인이기는 하지만
촬영 시 꼭 필요한 것이 아닐 수 없겠지요?
별도의 HDMI 모니터를 부착할 수도 있겠지만 비용 문제도 있고
모니터용 배터리, HDMI 분배기 등을
별도로 장착할 경우
현장에서 기동성을 보장 받기 어려운 관계로
카메라에 내장된 LCD를 통해 구도를 잡고
또한 LCD를 터치해서
원하는 대로 포커스를 맞출 수 있어서
별도의 모니터는 장착하지 않았습니다.
실내 촬영 시에는
LCD 창이 잘보여서 불편함이 없지만
야외에서 촬영 시 LCD창은 잘보이지 않습니다.
저렴한 가격의
LCD 후드 커버를 부착해서
야외 촬영 시 난반사 등으로 곤란했던 것을
깔끔하게 해결했습니다.
소니 알파6500(Sony A6500) LCD 전용후드
무엇보다 중요했던 것은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면서
주변장치를 장착했을 때
안정감을 주는 메인 프레임이었습니다.
국내에서는 구입하기가 조금 어려워서
아마존(amazon.com)에서
소니 알파6500 전용 리그(Rig)를 구매해서
아래의 사진과 같이
메인바디, 보조배터리, 무선마이크, 오디오믹서 등을
장착했습니다.
아래 사진의
동영상 녹화버튼 옆에 보이는 6각 볼트로
소니 알파6500을 리그(Rig)에 고정시키고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리그(Rig) 하단부에서
1/4인치 고정볼트로 카메라를 리그(Rig)에 고정시켜 주기 때문에
미세한 흔들림도 없이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보조배터리를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 거치대는
일반적인 스프링 방식 보다
볼트로 채결해 주는 거치대를 사용해서
이동 중에도 안정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이는 걸쇠 형태의 상하 2쌍의 금속은
약간 개조해서 부착한 것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젠 VCM-553S 스마트폰거치대/삼각대/홀더/셀카촬영
각종 악세사리를 장착한 상태로
장비의 상단에서 촬영한 사진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이는
사라모닉 스마트믹서(Saramonic SmartMixer)가 음질이
공중파에서 사용하는 정도의 수준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2개의 마이크가
지향성 마이크인 관계로
INPUT 1 마이크는 주 피사체를 향하게 하고
INPUT 2 마이크는 촬영자 또는 음원 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원하는 소리를 수음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별도로 장착한 마이크(무선 또는 유선)를
사라모닉 스마트믹서(Saramonic SmartMixer)에 연결하면
1. 마이크 3개로 동시에 수음할 수 있고
2. 인터뷰 촬영 때에는 내장된 지향성 마이크 2개를 제거한 후
와이어리스 마이크를 사용해서 깨끗하게 수음을 할 수 있습니다.
사라모닉 스마트믹서(Saramonic SmartMixer)
개인적인 취향일 수 있겠지만
인터뷰용 무선마이크로
블루투스 전용 등
여러 마이크를 테스트해 보았지만
소니 무선마이크 처럼 혼선 덜하고,
전송 거리 멀고,
깨끗한 음질을 제공해 주는 제품은
아직 경험해 보지 못했답니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 것은
동영상 촬영 시
카메라 패닝(좌에서 우, 우에서 좌로 움직이는 동작)샷을
위해 장착한 파노라마 헤드입니다.
물론 제 장비에 장착되어 있는
Vanguard GH-100 Pistol-Grip Ballhead 자체적인 파노라마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었지만 조금더 부드러운 패닝샷을 위해
샷건 볼헤드와 삼각대 마운트 사이에
파노라마 헤드를 장착했습니다.
호루스벤누 PH-360G 파노라마 헤드 (패닝/인덱스)
아래의 사진은
삼각대에서 카메라를 분리했을 때 사진으로
퀵슈를 적용해서 현장에서
핸드헬드 촬영 시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었습니다.
또, 카메라를 장착했을 때 단단하게 고정시켜주어
촬영 현장에서 삼각대 하단을 잡고 움직일 때로
카메라가 삼각대에서 분리되는 사고는 염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카본 삼각대로
금속재질의 일반 삼각대 보다
월등하게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재질로 제작되어
이동 시
무게감을 많이 느끼지 않고 있습니다.
옵션으로 판매되는 삼각대 핸들 그립은
삼각대 다리 3개를 결속해서 이동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호루스벤누 C-2830V 7X 카본 삼각대( 모노포드 겸용 )
▲▼ 세팅된 장비 목록입니다. ▼▲
▶호루스벤누 C-2830V 7X 카본 삼각대 / 모노포드 겸용
▶호루스벤누 PH-360G 파노라마 헤드 (패닝/인덱스)
▶호루스벤누 HG-T2 삼각대 핸들그립 (손잡이+벨트)
▶HN128좀머(SOMMER) 3.5-미니xlr케이블30cm/a18979
▶카데코 3.5mm 4극 AUX케이블 차량용 오디오케이블 폰
▶MULTI-PLUS ARM 7EVEN /멀티플러스 암 SEVEN
▶호루스벤누 MA14 더블 볼헤드 각도조절 매직암 브라켓
▶Kenko AIR MC UV 필터 72mm/슬림필터/렌즈필터
▶소니 E PZ 18-105mm F4 G OSS 정품
▶소니코리아 A6500 바디
▶사라모닉 스마트믹서 풀세트(Saramonic SmartMixer)
▶소니 정품 UWP-D11 무선마이크
▶소니마이크 UWP-D11 UWP-V1 UWP-C1 마운트어뎁터
▶EE-P5000BBKGKR 기가 멀티포트 어댑터 USB-C 타입
▶본젠 VCM-553S 스마트폰거치대/삼각대/홀더/셀카촬영
▶Vanguard GH-100 Pistol-Grip Ballhead
▶SmallRig Advanced Cage Kit for Sony A6500 with NATO Rail Handle
and Cold Shoe Mount Handheld Shooting Kit - 2081 amazon
▶2 of SmallRig Cold Shoe Mount Adapter Bracket Hot Shoe with 1/4"
Thread for Camera Cage Flash LED Moniter, Pack of 2 - 2060 amazon
▶SmallRig HDMI Cable Clamp for Sony A6500/A6000/ A6300 Cage,
Panasonic GH5 Cage, Compatible with SmallRig Cage 1661, Cage
1889, Cage 2049 - 1822 amazon
▶ChromLives Camera Screw Adapter 1/4" Male to 1/4" Male Screw 1/4
Male to 3/8 Male Tripod Screw Adapter Converter for Camera/ Tripod/
Monopod/ Ballhead/ Light Stand (4 Pieces) amazon
▶Fotasy LCH-A6 LCD Pop-Up Screen Hood Cover for Sony E-Mount A6500 amazon
댓가를 받고 장비 리뷰를 하는 것으로 오인 받을 수 있겠으나,
제가 직접 사용하고 있는 온라인 방송장비를 설명하고자 함을 알려드리는 바입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소니a6500 #유투브라이브방송 #생방송 #스몰리그 #SmallRig Kit #지구촌여행 #고화질방송 #UWP-D11 #카메라파이앱 #월드트립 #소니 E PZ 18-105mm F4 G OSS